Spring/boot

[Spring-boot] 의존성 이해와 응용

jay Joon 2021. 1. 12. 21:30

spring-boot-study

[ Inflearn ]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강의를 듣고 챕터별 간단하게 정리합니다.

내용적 오류가 존재 할 수 있으며 부족한 부분은 언제든지 지적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.


1. 의존성 관리 이해

    1. 스프링부트는 어떻게 해서 수 많은 의존성을 자동으로 가져올까?

image
정의한 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2가지만 정의 되어 있고 의존성을 정의할때 버전도 쓰지 않는다.

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.

Spring boot 는 parent 폼에 스프링 boot 에서 사용할 의존성들이 이미 모든 버전이 서로 호환성이 맞도록 명시가 되어 있다.
image
*<spring boot 2.4.1> 버전에 맞는 의존성을 이미 명시가 되어있음*

이러한 의존성 관리를 자동으로 해줌으로써 개발자가 관리해야하는 의존성이 줄어들게된다.


2. 의존성 관리 응용

의존성 추가방법

  • 1-1 스프링 부트 parent 에서 관리하는 dependency 추가시.
    image
    다음과 같이 원하는 dependency 를 추가하면된다. starter 같은경우
    당연히 parent 폼에서 관리하는 의존성이기 때문에 버전을 명시하지 않아도된다.
  • 1-2 스프링 부트 parent 에서 관리하지 않는 dependency 추가시.
    image
    스프링 부트에서 관리하지 않는 버전이기 때문에 반드시 버전을 명시해준다
  • 1-3 스프링 부트에서 관리하는 의존성의 버전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.
    image
    properties 내에 변경하고 싶은 버전을 명시해주면 된다.